![]() |
![]() |
경기도는 경기도형(京畿道形) 평생학습(平生學習) 공유플랫폼 구축 계획 발표에서 표준화(標準化)된 평생학습(平生學習)플랫폼 만들어 시군과 공유를 전제로 예산 절감. 시군별 평생학습(平生學習)격차 해소 기대는 물론 내년 상반기까지 표준화(標準化)된 평생학습(平生學習) 학사관리시스템 구축. 시군에 공유하는 반면 31개 시군, 지역 간 평생학습(平生學習) 격차 해소 및 도민 학습 편의성(便宜性) 증진에 기대된다. 따라서 도민 하나의 아이디(ID)로 평생학습(平生學習) 이력 관리가 가능하다는 점이다.
이러한 점에서 시군별로 개별 구축하던 평생학습(平生學習) 플랫폼 개발 비용 예산 절감 가능은 물론 교육콘텐츠도 공유. 시군별로 풍부한 교육 콘텐츠 갖추게 됨에 따라 2024년 2~3개 시군으로 시작. 점차 확대를 전제로 하고 있다. 이를 계기로 경기도가 표준화(標準化)된 평생학습(平生學習) 플랫폼을 구축해 도내 31개 시군과 공유하는 작업을 추진한다. 하나의 플랫폼을 공유해 예산을 절감하는 것은 물론, 시군별 격차(隔差)를 해소하기 위해서다. 또, 한 번만 회원 가입하면 도내 어느 시군에서도 학습관리(學習管理)를 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김향숙 평생교육국장은 7일 경기도청(京畿道廳)에서 기자회견(記者會見)을 열고 이런 내용을 담은 ‘경기도형(京畿道形) 평생학습(平生學習) 공유플랫폼 구축’ 계획을 발표했다. 그러면서 “31개 시군의 재정 상황과 평생학습(平生學習)에 대한 관심도에 따라 지역 간 교육격차(敎育隔差)를 보이고 있다”라며 “표준화(標準化)된 학사관리(學士管理) 시스템을 통해 도민들이 더 고른 평생학습(平生學習) 기회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아울러 경기도는 총 14억 1천만 원을 투입하여 내년 상반기(上半期) 중 플랫폼 구축을 완료한다는 것이다.
도는 24년 상반기 2~3곳의 시군을 먼저 시범적으로 공유할 계획이며, 이후 학사관리(學士管理) 기능이 오래돼 플랫폼 재개발이 시급한 시군 등을 대상으로 플랫폼 공유 대상을 점차 확대할 방침이다. 경기도가 추진 중인 ‘경기도형 평생학습(平生學習) 공유플랫폼’의 핵심 기능은 표준화(標準化)된 학사관리(學士管理) 시스템이다. 이는 자동차(自動車)로 말하면 엔진에 해당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시군은 경기도가 제공한 공유플랫폼 엔진을 활용해 평생학습(平生學習) 홈페이지를 개설·운영할 수 있다.
플랫폼 개발비는 경기도가 일괄 부담하고, 유지관리비(維持管理費)만 시군에서 부담하는 체계로 예산 절감은 물론, 시군별 평생교육(平生敎育) 격차 해소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이 도의 설명이다. 경기도(京畿道)가 표준화(標準化)된 평생학습(平生學習) 플랫폼을 추진하게 된 배경은 시군별로 제공하는 평생교육(平生敎育)) 홈페이지의 기능적 편차가 있다는 판단에 있다. 경기도는 현재 경기도평생학습포털 지식(GSEEK)을 운영 중이다. 31개 시군도 성남시 ‘배움 숲’, 남양주시 ‘다산서당’처럼 별도의 평생학습(平生學習) 홈페이지를 운영 중이다.
문제는 시군별로 예산 규모 등 사정이 달라 일부 시군은 별도 플랫폼을 제공할 정도로 적극적(積極的)이지만 사정이 열악한 곳은 지자체 홈페이지에 별도 공간을 마련해 일부 교육콘텐츠만 제공하는 상황이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학사관리(學士管理)는 물론이고, 새로운 교육콘텐츠 개발도 쉽지 않은 시군도 있다. 경기도는 2024년 상반기(上半期)까지 현재 도가 운영 중인 ‘평생학습(平生學習)포털 지식(GSEEK)’을 표준화(標準化)된 ‘경기도형 평생학습(平生學習) 공유플랫폼’으로 개편할 방침이다.
공유플랫폼은 표준화(標準化)된 학사관리 시스템, 도민 학습 이력 통합, 온라인 및 실시간 화상교육(畫像敎育) 확대, 도-시군 통합 온라인, 오프라인, 실시간 평생학습(平生學習) 등 4가지 서비스를 제공해 시군별로 활용할 수 있다. 도는 각각의 플랫폼을 분양이란 형태로 제공할 예정인데, 각 시군은 플랫폼을 분양받은 후 각각의 이름을 붙이고, 지역주민(地域住民)을 위한 교육강좌(敎育講座)를 개설하는 등 시군 고유의 평생교육(平生敎育))을 운영할 수 있다. 새로운 플랫폼을 적용하면 교육 신청부터 수료증 발급까지 지역주민(地域住民)의 모든 학습 이력을 하나의 아이디로 디지털화해 관리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도민들이 주소를 이전하더라도 개별적(個別的)으로 시군 평생학습(平生學習) 홈페이지에 회원 가입할 필요 없이 하나의 아이디(ID)로 사용할 수 있으며, 평생학습(平生學習) 이력도 통합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도에서 보유한 1,700여 개의 온라인 평생학습(平生學習) 콘텐츠와 실시간 화상 학습 기능도 시군에 공유할 예정이어서, 각 시군은 별도 비용 없이 풍부한 교육콘텐츠를 갖출 수 있다.
<저작권자 ⓒ 케이에스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댓글
칼럼 관련기사목록
|
인기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