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특집] 환경부, 내년도 댐·하천관리 녹색산업(綠色産業) 육성에 투자

김창석 환경전문기자 kspa@kspnews.com | 기사입력 2023/09/03 [11:41]

[특집] 환경부, 내년도 댐·하천관리 녹색산업(綠色産業) 육성에 투자

김창석 환경전문기자 kspa@kspnews.com | 입력 : 2023/09/03 [11:41]

환경부는 2024년 환경 예산안(環境豫算案) 144567억 원 편성으로 무공해차(無公害車) 306천대 지원은 물론 수해로부터 국민 지킨다는 점에서 댐·하천 정비 등 치수 예산 70% 확대로 정부가 국민 안전을 최우선하고, 미래 먹거리 창출을 위해 내년도 댐·하천 관리 및 녹색산업(綠色産業) 육성에 집중적 투자한다이에 댐·하천 관리 등의 관련 비용을 약 70% 대폭 확대해 약 2조 원을 책정했는데, 이는 올해 12천억 원 대비 68.2% 증가한 예산이다

 

아울러 전기와 수소 등 무공해차(無公害車)의 지원도 계속하는데, 2030450만대 보급을 목표로 내년에는 약 306천대의 무공해차(無公害車)를 지원하고 충전 기반시설(基盤施設) 등도 계속 늘려가기로 했다환경부는 2024년도 환경부 소관 예산 및 기금의 총지출을 올해 대비 7.3% 늘린 144567억 원으로 편성했다고 29일 밝혔다이번 예산(환특회계·일반회계·예특회계 등)126067억 원으로 올해 대비 8.8% 증가했으며, 기금(수계·석면·기후기금)18499억 원으로 올해 대비 1.7% 감소한 수준이다.

 

<·하천 관리 등 투자 확대>

 

매년 반복되는 수해로부터 국민 안전을 지키기 위해 치수 정책 전반을 쇄신하고 댐·하천 관련 예산을 약 70% 가까이 대폭 확대한다. 이에 지난 정부에서 소홀히 했던 하천준설사업(河川浚渫事業)3건에서 19건으로 확대하고, 국가하천(國家河川)의 수위상승에 영향을 받는 지류·지천 정비 사업의 추진 속도를 높인다. 또한 국가 차원의 관리가 필요한 지방하천(地方河川)을 국가하천(國家河川)으로 전환하기 위해 내년 10곳을 대상으로 신규 예산 103억 원(설계비)을 우선 편성한다.

 

한편 하천 상류에서 홍수 물길의 일차적 방어 역할을 수행할 댐 건설사업(建設事業)도 본격적으로 착수한다. 이를 위해 지자체 수요와 홍수위험(洪水危險)도 등을 토대로 신규댐 건설 등을 위한 대상지역을 선정하고, 내년에 우선순위(優先順位)가 높은 10개 댐은 기본구상 및 타당성 조사(妥當性調査)를 실시한다. 아울러 항사댐 등 이미 진행 중인 홍수방어 목적의 소규모 댐 건설사업(建設事業)도 사업 계획에 따라 적정 소요를 지원한다. 특히 도심 내 침수 예방을 위한 투자도 강화하는데, 하수의 범람으로 침수 피해가 발생할 우려가 큰 하수도정비(下水道整備) 중점관리지역(重點管理地域)’에 대한 투자를 올해 대비 2배 이상 확대한다

 

이와 함께 올해 신규사업(新規事業)으로 추진 중인 서울 강남역·광화문·도림천의 대규모 저류시설 및 방수로 건설사업(建設事業)의 공사비를 지원한다. 인공지능(人工知能)(AI) 기반 홍수 예보시스템 구축을 위한 투자도 확대한다.이에 하천 홍수특보지점 223개에 대한 인공지능(人工知能) 예보 체계를 내년 홍수기(621~920)부터 활용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이를 통해 재난 당국과 우리 국민들은 홍수에 대응할 수 있는 최적시간인 골든타임을 2배 더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나아가 전국 하천에 인공지능(人工知能) 홍수예보가 가능하도록 침수위험(浸水危險)이 높은 도심하천 110곳과 소규모 지방하천 148곳에 대한 홍수 감지기를 설치한다. 홍수예보의 중요성·시급성을 감안해 당초 계획을 훨씬 앞당겨 내년에 조기 구축을 추진하고, -하천 가상모형 기술도 당초 2026년 구축 목표를 내년으로 앞당겨 추진한다. 이밖에도 홍수피해(洪水被害)가 해마다 상시화된 점 등을 고려해 하천재해복구비(河川災害復舊費) 2500억 원을 신규로 편성해 재난 발생 시 재정적 대처 능력도 제고한다

 

<녹색산업 육성 및 탄소중립 전환 지원>

 

신성장 동력 확충을 위한 녹색산업육성(綠色産業育成) 집중투자하는데, 먼저 녹색산업(綠色産業) 생태계(生態界) 조성을 위해 창업-사업화-실증화 등 사업화 전 과정의 자금 지원을 지속한다또한 탄소중립(炭素中立순환경제(巡還經濟)를 견인할 수 있는 유망 녹색산업(綠色産業)의 집적화를 위해 신규 녹색융합클러스터 구축을 추진한다. 환경오염물질(環境汚染物質) 저감시설(低減施設)의 설치·교체 기업에게 최대 100억 원까지 시중금리(市中金利)보다 낮은 금리로 융자자금(融資資金)을 공급하고, 이차전지(二次電池)의 순환이용성(巡還利用性) 향상을 위한 기술개발(技術開發) 사업도 신규로 추진한다.

 

한편 해외 유망환경시장(有望環境市場) 조사, 해외 신규사업(新規事業) 발굴 및 협력 구축 등으로 우리 기업들의 녹색산업(綠色産業) 해외진출(海外進出)을 적극적 지원한다. 아울러 우리 기업의 해외 현지 실증 등에 대한 지원을 늘리고, 개도국(開途國)의 기후변화(氣候變化) 적응과 온실가스 감축을 도와주면서 우리 녹색산업(綠色産業) 해외진출(海外進出)의 마중물 역할도 기대할 수 있는 녹색 공적개발원조(公的開發援助)(그린ODA)’ 예산도 확대한다. 녹색산업(綠色産業育成)의 해외진출(海外進出)을 위한 정부펀드도 신설해 우리 기업의 수출경쟁력(輸出競爭力)을 강화한다.

 

이에 향후 5년 동안 정부 재정 3천억 원, 민간자금(民間資金) 1천억 원을 연결 및 조성해 탄소중립(炭素中立순환경제(巡還經濟) 등과 관련한 해외 투자 기업의 자금조달(資金調達)을 지원할 예정이다. 특히 수송분야 탄소 감축 및 미세먼지 개선 등을 위해 전기·수소 등 무공해차에 대한 지원을 지속한다. 2030450만대 누적 보급 목표에 차질이 없도록 내년에 전기 295천대, 수소 1750대 등 총 306천대를 지원하고 이동형(移動型화재예방형(火災豫防型) 전기차 충전기(充電器)도 약 2만기 신규 도입해 충전 인프라도 지속 확충한다. 특히 수소버스의 안정적 보급 확대를 위한 내연기관차(內練機關車)의 엔진 역할을 하는 수소연료전지스택 교체 지원사업(支援事業)은 환경부로 일원화해 추진할 방침이다이밖에도 국내외 온실가스 감축실적 확보를 위한 지원을 지속하고, 탄소중립(炭素中立) 인식 확산과 실천 유도를 위한 탄소중립포인트제도 지원 예산을 40만 명에서 100만 명으로 확대한다.

 

<환경취약계층 지원 및 대국민 환경서비스 제고>

 

해마다 증가하는 석면 피해자에 대한 구제급여를 적기 지원하기 위해 피해구제급여 지원 물량은 2773명에서 3791명으로 늘릴 계획이다또한 저소득층(低所得層) 가구의 난방비 절감 및 대기오염물질(大氣汚染物質) 저감 등을 위해 저소득층 친환경보일러 구입 지원도 1만 명에서 2만 명으로 2배 확대한다. 물 공급 취약지역(脆弱地域)의 물 부족 해소를 위해 지하수저류댐도 2개에서 7개로, 광양산업단지(光陽産業團地) 비상취도수시설(非常取導水施設) 확충 사업 신규 설계비와 충남 대산-임해산단 용수공급(用水供給)을 위한 해수담수화(海水淡水化) 시설 준공 소요 등도 지원한다.

 

극한 가뭄에 대비해 4대강 보를 활용하는 방안에 대한 연구도 추진할 방침이다녹조 등 수질개선(水質改善)을 위한 노력도 강화해 신규 녹조 저감 설비를 확충하고, 공공수역(公共水域)의 수질오염방지(水質汚染防止)를 위한 하수처리장(下水處理場) 설치 예산도 대폭 확대한다. 한편 23번째 국립공원(國立公園)으로 지정된 대구 팔공산(八公山) 국립공원(國立公園)의 자연환경(自然環境)과 문화경관 보전·이용을 위한 신규 예산을 지원한다아울러 국립공원 내 재난(災難안전사고(安全事故)에 대한 예방 강화를 위해 신규 헬기 1대를 추가 도입하는 등 국민들의 친환경 여가 수요 충족을 위한 투자도 이어갈 예정이다

 

한화진 환경부 장관은 내년도 환경부 예산안(豫算案)은 반복되는 수해 피해로부터 국민안전(國民安全)을 확보하기 위한 치수 쇄신 방안을 적극적 뒷받침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고 강조했다이어 앞으로 국회 심의과정(審議過程)과 집행 준비에 최선을 다하여 국민들이 더욱 안심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도록 노력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한편 2024년도 환경부 예산 및 기금운용계획안(基金運用計劃案)은 오는 91일에 국회에 제출되고, 국회의 심의와 의결을 거쳐 올해 122일 확정될 예정이다.

 

  • 도배방지 이미지

특집 관련기사목록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