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특집] 과기정통부, ‘정보보호산업’ ‘글로벌 경쟁력(競爭力) 확보전략’ 발표과기정통부는 ‘글로벌 경쟁력(競爭力) 확보의 전략’ 발표에서 시장규모(市場規模) 30조 원 달성 및 보안 유니콘 육성은 물론 관련 예산 1조 1천억 원 투입으로 1300억 원 규모의 ‘사이버보안 펀드’ 조성하는 반면 ‘정보보호산업(情報保護産業)’ 강국 도약에 2027년까지 세계 5위권 진입 목표로 정부가 오는 2027년까지 정보보호산업(情報保護産業)의 세계 5위권 진입을 목표로 ‘글로벌 정보보호산업(情報保護産業)’ 강국 도약에 박차를 가한다. 이에 따라 시장규모(市場規模) 30조원 달성을 목표로 관련 예산에 총 1조 1천억 원을 투입하고, 총 1300억 원 규모의 ‘사이버보안 펀드’를 조성해 보안 유니콘 기업을 본격 육성하기로 했다.
또한 통신·금융·의료 등 주요 기반 분야에 보안 패러다임 전환 시범사업(示範事業)을 추진하고, 혁신 통합보안 모델 개발을 위해 ‘K-시큐리티 얼라이언스’를 구성해 글로벌 수출지원(輸出支援)을 확대할 방침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5일 열린 제30차 비상경제차관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의 ‘정보보호산업(情報保護産業)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 전략’을 발표, 우리 정보보호산업(情報保護産業)의 경쟁력 강화를 통한 ‘튼튼한 사이버 안보’를 실현하겠다고 밝힌 점을 짚어본다.
<비전 및 목표>
최근 글로벌 보안시장(保安市場)은 사이버위협 증가와 디지털화로 인한 보안영역의 확장은 물론 각국의 보안규제 강화로 시장이 성장하고 있으며, 2026년까지 연평균 8.5% 지속성장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특히 제로트러스트·통합보안 등 보안 패러다임 전환을 계기로 고성장 중인 글로벌 사이버 보안시장(保安市場)을 선점하려는 선도 기업들의 치열한 주도권(主導權) 경쟁이 가속화되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大統領) 또한 “사이버 안보 역량 강화가 국가 안보의 핵심”이라고 수차례 강조했고, 최근 미국과 일본을 비롯해 중동과 동남아 등 활발한 순방을 통해 사이버 분야 협력 행보를 확대하고 있는 상황도 이와 맥락을 같이한다. 아울러 과기정통부는 ‘튼튼한 사이버 안보’를 실현하기 위해 글로벌 시장경쟁(市場競爭)에서 뒤처지지 않는 정보보호산업(情報保護産業)을 육성하고, 사이버 보안 패러다임 전환을 선점할 새롭고 발 빠른 대책을 추진하고자 이번 전략을 마련했다.
<보안패러다임 전환 주도권 확보 및 신시장 창출>
보안 패러다임 전환에 따른 새로운 보안체계 적용과 스마트공장, 스마트헬스케어, 로봇, 우주·항공 등 미래산업(未來産業)의 보안 내재화를 통해 보안 신시장을 창출한다. 아울러 융합보안 및 물리보안 산업을 집중적 육성해 글로벌 보안시장(保安市場) 진출 확대를 추진한다. 이에 기존 경계보안(經戒保安)의 한계를 해소하기 위한 ‘제로트러스트 전환 로드맵’을 수립하고, 통신(通信)·금융(金融)·의료(醫療) 등 기반 분야를 중심으로 기존 경계모델을 제로트러스트 보안 모델로 적용·확산하는 시범사업(示範事業) 추진 등을 통해 보안패러다임 전환을 강화해 나간다.
또한 SW 공급망 공격에 능동적(能動的)으로 대응하고, 해외 무역장벽(貿易障壁)에 대비하기 위한 ‘SBOM 기반 SW 공급망보안(供給網保安) 기술지원체계(技術支援體系)’를 구축하며 보안SW 및 의료SW 등 파급력이 높은 분야를 대상으로 공급망 보안관리를 지원한다. 유기적 협력·선제적 보안 내재화로 미래형 융합보안 시장을 개척하기 위한 작업도 본격 추진한다. 주요 신산업별 보안요구사항(保安要求事項)에 전략적(戰略的)으로 대응하기 위한 유관부처·기관 ‘융합보안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기존 보안리빙랩을 핵심분야로 특화 개편하며 이를 기반으로 보안인증 내재화 프로세스를 마련한다.
국산 신기술 적용·확산을 통해 물리보안(物理保安)을 차세대 성장산업(成長産業)으로 육성한다. 이를 위해 정부 R&D로 국산화된 핵심부품(核心部品)인 CCTV 반도체칩의 보급을 10개사에서 40개사로 확산하고, 2세대 반도체(半導體) 칩을 조속히 양산해 국산 제품의 세계시장(世界市場) 점유율을 확대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지문·안면 중심 생체인식 성능평가 분야를 정맥 및 홍채 등으로 확대하고, AI 등 신기술을 활용해 관련 데이터를 60만 건 이상 대량 구축해 생체인식(生體認識) 물리보안 시장 확대를 견인한다. 특히 국내 보안기술(保安技術)을 집약시킨 ‘한국형 무인점포(無人店鋪)’를 구현하고 실증을 통해 상용화를 추진하는 한편, 개발된 우수 무인기술(無人技術)·제품을 소상공인 무인점포(無人店鋪)에 지원해 범죄 등 사회문제(社會問題) 해결과 무인보안 시장 확대를 도모한다.
<협업 기반 조성을 통한 신흥시장 진출 강화>
기업 간 협력을 기반으로 혁신적인 통합보안 모델을 구현하고 신흥시장(新興市場)을 전략적(戰略的)으로 공략해 글로벌 시장 내 우리기업의 경쟁력 확보를 추진한다. 먼저 혁신 통합솔루션·서비스 개발을 위한 ‘민간주도형(民間主導形) 전략적(戰略的) 협업 추진연대 K-시큐리티 얼라이언스’를 구성한다. 이를 통해 공동·협업형 통합보안 사업화모델, 표준화 및 상호운용성(相互運用性) 확보 등을 민간이 주도할 수 있도록 적극적 유도하되 정부는 기업 애로해소와 판로·투자·해외진출(海外進出)을 전폭적으로 지원한다.
내년부터는 현장수요(現場需要)를 기반으로 우수 통합보안 모델을 공모를 통해 선정해 협업 활성화의 마중물로 활용할 계획이다. 협업성과공유회, 성과사례집 및 협업가이드 발간, 우수 상호운용성(相互運用性) 표준제정 등을 통해 글로벌 트렌드인 ‘Stronger Together’ 조성을 적극적 유도한다. 국제협력(國際協力) 기반의 신흥 보안시장 진출 관련 사업을 확대 추진하고자 중동(中東)·동남아(東南亞) 등 신흥시장(新興市場) 공략을 위해 중동 거점을 사우디로 재편하고, 베트남 거점(하노이) 신설을 추진한다. 중동(中東)·동남아(東南亞) 기금·공공조달 사업 프로젝트 수주를 위한 민·관 협력형 시큐리티 팀 코리아의 구성·지원을 통해 공공부문의 주도로 대형 해외사업 수주 가능성을 극대화하고, 수주 후 국내 사업자 참여를 통해 기업의 간접 수출 효과를 제고한다.
<글로벌 공략을 위한 단단한 산업 생태계 확충>
우리 기업의 글로벌 시장진출(市場進出) 가속화를 위해 시설확충, 펀드조성, 인재양성 등 지속성장 환경 조성에 집중해서 투자한다. 이에 보안 스타트업 육성(판교), 지역 보안산업 강화(부울경), 글로벌 시큐리티 클러스터(송파)로 구성된 K-시큐리티 클러스터 벨트를 조성해 우리 기업의 해외진출(海外進出) 가속화를 위한 전진기지로 육성한다. 사이버보안 펀드를 조성해 민간투자(民間投資)의 마중물로 활용하는데, 기업의 안정적 기술개발(技術開發) 및 민간투자(民間投資) 활성화를 위해 2027년까지 민관합동으로 1300억 원 규모를 조성한다. 아울러 제로트러스트 및 AI 등 유망 분야 스타트업 지원 및 기업 간 M&A를 통한 스케일업 지원에 펀드 결성액의 50% 이상 투자를 유도할 계획이다.
<차세대 정보보호 기술 경쟁력 확보>
미래산업(未來産業) 성장에 필수적(必需的)인 전략기술개발(戰略技術開發)에 집중하고, 선도국과의 공동연구(共同硏究)를 통해 글로벌 기술패권(技術覇權) 경쟁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는 기술력 확보에 주력한다. 미래 대응에 필요한 사이버보안 중점기술(重點技術) 확보를 위해 미래도전(未來挑戰), 기술산업(技術産業) 선도, 안보투자(安保投資) 등 주요 R&D 영역을 도출하고 영역별 선택과 집중의 전략적(戰略的) 투자를 추진해 성과를 극대화한다. 또한 미국(美國)·독일(獨逸)·핀란드 등 사이버보안 분야 강점을 지닌 선도국과 공동연구(共同硏究)를 통해 글로벌 수준의 기술 확보를 추진한다. 동남아(東南亞)·중동(中東) 등 주요 신흥시장(新興市場)을 전략적(戰略的)으로 공략하기 위한 신흥국 지원 연구도 신규 추진할 계획이다.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은 “최근 글로벌 보안시장은 새로운 보안 패러다임 선점 경쟁이 가속화하는 가운데, 통합보안이라는 흐름에 뒤처지지 않기 위한 기업 간 협업과 공조가 활발하게 일어나는 등 격변의 시기”라고 강조했다. 이어 “새로운 보안 패러다임 변화를 발 빠르게 준비하고, 신흥시장(新興市場)을 공략할 탄탄한 산업생태계(産業生態界)를 조성하는 일은 단 하루도 늦출 수 없는 시급한 과제”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번 전략을 통해 우리 정보보호산업(情報保護産業)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고 시장 주도권(主導權)을 확장해 우리의 힘으로 사이버 안보를 튼튼히 할 수 있도록 정부의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케이에스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댓글
특집 관련기사목록
|
인기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