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경기도는 18일 경기도(京畿道)-제주특별자치도(濟州特別自治道) 상생협약(相生協約) 9개 과제 합의를 전제로 경기·제주, 탄소중립(炭素中立)·기후테크 등 ‘경제’ 살리기 위한 맞손에김동연 지사, 오영훈 제주지사와 상생협력(相生協力) 업무협약 체결함에 따라 경기도와 제주특별자치도가 탄소중립(炭素中立) 정책을 교류하고 양 도(道)의 천연자원(天然資源)을 활용한 바이오산업 육성, 일본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문제 공동 대응 등 긴밀한 협력체계를 구축하기로 했다.
이날 김동연 경기도지사와 오영훈 제주특별자치도지사는 18일 경기도청(京畿道廳)에서 이런 내용을 담은 9개 과제에 관한 상생협력(相生協力)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이날 “임기 시작하고 얼마 안 돼서 경기도의 ‘경’과 제주도의 ‘제’를 따서 ‘경제살리기’ 상생협약(相生協約) 얘기를 했었는데 오늘 결실을 맺게 됐다. 탄소중립(炭素中立)이나 오염수(汚染水) 부분에서 사인에 그치지 말고 실질적(實質的)인 협력을 했으면 한다”며 “너무 거창하지 않아도 좋으니까 작은 것부터 제주도와 경기도가 같이 하면 나중에 큰 것도 할 수 있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오영훈 제주특별자치도지사는 “제주는 그린수소버스 등 에너지 분야와 우주센터 조성 등 우주산업(宇宙産業) 분야에서 신산업(新産業) 육성을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그러면서 요즘 같은 상황에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는 경기도(京畿道)와 제주도(濟州道)의 역할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며 “경기도민께서 제주도에 고향사랑기부제 기부를 가장 많이 해주고 계셔서 고맙다는 말씀을 드린다. 그게 제주의 환경을 지키고 제주를 지속가능하게 하는데 매우 큰 동력이 될 것”이라고 화답했다.
아울러, 경기도(京畿道)와 제주도(濟州道)의 천연-청정자원을 활용해 맞춤형 화장품 및 천연물 기반 식의약 소재들을 발굴, 바이오산업 규모를 확장하고 다양한 부가가치(附加價値)를 창출하기 위해 노력할 것을 약속했다. 9개 합의사항은 탄소중립(炭素中立)·기후테크 분야 정책교류,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방류(汚染水放流) 공동 대응, 고향사랑기부제 활성화 상호 협력, 천연-청정자원 활용 바이오산업 육성(Scale-Up), 온라인 농특산물(農特産物) 상생장터 공동 운영 협력, 학교급식(學校給食) 농산물(農産物) 상호 공급 협력, 관광 브랜딩 사업 상호 협력, 말산업 육성 및 활성화 상호 협력, 평생교육(平生敎育) 활성화 및 콘텐츠 공동 활용이다.
협약에 따라 양 기관은 기후위기(氣候危機)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炭素中立) 기술․문화 및 재생에너지 우수 정책과 관련 산업 교류에 협력하기로 했다. 또,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방류(汚染水放流)에 대해 방류 관련 동향 정보공유 등 적극적 대응하고, 고향사랑 기부금제도(寄附金制度) 활성화를 위한 상호 홍보와 제도개선에도 함께 나설 방침이다. 이 밖에도 양 도의 생산 농가의 농특산물(農特産物) 판매 활성화를 위해 온라인 농특산물(農特産物) 상생장터를 공동으로 운영하고 효율적인 친환경학교급식 체계 구축을 위해 농산물(農産物) 상호 공급도 할 예정이다. 관광산업(觀光産業) 활성화를 위한 관광 브랜딩 사업 상호 협력, 말산업 육성 및 활성화, 평생교육(平生敎育) 활성화 및 콘텐츠 공동 활용에도 힘을 모으기로 했다.
한편, 경기도는 민선8기 김동연 지사 취임 이후 충남, 전남, 전북, 광주에 이어 이번 제주도까지 총 5개 광역자치단체(廣域自治團體)와 상생협약을 맺었다. 도는 충남과는 지난 3월 베이밸리 메가시티 세미나를 개최하고, 전북과는 지난달 경기․전북 청소년 교류 캠프를 운영했다. 지난 12일에는 마켓경기를 통해 전남 특산물(特産物)을 판매하는 등 협약에 그치지 않고 광역자치단체(廣域自治團體)와 실질적인 실행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저작권자 ⓒ 케이에스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댓글
사설 관련기사목록
|
인기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