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특집] 과기통신부, 올해 국가연구개발(國家硏究開發) 100선 발표

김준영 과학전문기자 kspa@kspnews.com | 기사입력 2023/11/12 [18:55]

[특집] 과기통신부, 올해 국가연구개발(國家硏究開發) 100선 발표

김준영 과학전문기자 kspa@kspnews.com | 입력 : 2023/11/12 [18:55]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한국형발사체(韓國型發射體) ‘누리호개발 성공 등 우수 R&D 성과로 선정 854건 후보 성과평가·검증으로 ‘2023년 국가연구개발(國家硏究開發) 우수성과 100발표에서 과제선정 및 기관평가 등 가점 부여는 물론 연구자는 유공포상 후보자 적극 추천을 전제로 한국형발자체(韓國型發射體) ‘누리호개발 성공과 초소형유전자(超小型鍮剪子) 가위 개발 및 기술수출(技術輸出) 등이 대한민국(大韓民國) 미래 성장에 기여할 우수 R&D 성과로 선정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각 부··청이 선별·추천한 총 854건의 후보 성과를 대상으로 선정평가위원회 평가와 대국민 공개검증을 거쳐 ‘2023년 국가연구개발(國家硏究開發) 우수성과 100최종 선정했다고 9일 발표했다이번 성과는 6개 기술분과별로, 기계·소재 19, 생명·해양 24, 에너지·환경 17, 정보·전자 21, 융합 11, 순수기초·인프라 8건이다. 2006년부터 시작해 올해로 18년 차를 맞이한 우수성과 100선은 국가 발전을 견인해 온 과학기술(科學技術)의 역할에 대한 국민들의 이해와 관심을 제고하고, 과학기술인(科學技術人)들의 자긍심을 고취하고자 범부처적으로 우수한 국가연구개발(國家硏究開發) 성과를 선정하는 제도를 짚어본다

 

<기계·소재 분야>

 

한국형발사체(韓國型發射體) 누리호 개발(고정환,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성과는 지구 저궤도에 투입할 수 있는 1.5톤급 실용위성 발사체(發射體) 개발에 성공해 독자적(獨自的)인 우주수송 능력을 확보했으며 국가 우주개발(宇宙開發) 계획의 실현에 이바지했다. ‘불 타지 않는 전고체(全固體) 이차전지용(二次電池用) 황화물계 고체전해질 저비용 대량생산(大量生産) 기술개발(技術開發)(하윤철, 한국전기연구원)’은 차세대 전고체전지용(全固體電池用) 핵심소재(황화물 고체전해질)의 저가격 대량생산(大量生産) 원천기술(源泉技術)을 개발한 것이다이에 국내외 특허 등록을 하고 기술사업화(技術事業化)를 추진한 만큼 미래 전기 모빌리티 시대를 앞당기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생명·해양 분야>

 

초소형유전자가위기술개발(超小型遺傳子可謂技術開發) 및 기술수출(김용삼,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다양한 조직에서 유전자교정치료(遺傳子矯正治療)가 가능한 고성능의 초소형유전자가위기술(超小型遺傳子可謂技術)을 개발했다이를 활용한 질환치료제(疾患治療劑) 공동개발(共同開發) 라이선싱을 해외 제약사와 35천만 달러 규모의 계약을 해 대안 치료제(治療劑)가 없던 희귀(稀貴유전환자(遺傳患者)들을 대상으로한 치료제(治療劑)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밖에도 알츠하이머병 가속병인인자 혈액 ASM의 규명을 통한 새로운 항체신약 개발(배재성, 경북대학교)’은 알츠하이머병을 일으키는 원인 중 혈액 내 산성 스핑고미엘리나제(ASM)의 역할을 규명하고 치매 치료 효능이 높은 원천기술(源泉技術)을 확보해 기술이전(技術移轉)을 한 것이다이에 고령화(高齡化) 시대에 새로운 기전의 알츠하이머 치료법(治療法) 개발의 가능성을 제시했다. ASM는 간, 비장, 폐 및 뇌에 축적되는 스핑고미엘린이라고 하는 복잡한 지질을 분해하는 데 필요한 효소로 결핍 시 조기 사망 및 희귀유전질환(稀貴遺傳疾患)을 유발할 수 있다

 

<에너지·환경 분야>

 

탄소중립(炭素中立) 사회 구현을 위한 그린수소 생산 물 전기분해(電氣分解) 핵심기술(核心技術) 국산화(조현석,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는 기존 기술 대비 3배 이상의 수소 생산밀도(生産密度)를 갖게 하는 세계최고(世界最高) 수준의 효율을 가진 물 전기분해(電氣分解) 기술을 국산화(國産化)하고 GS건설, 테크로스, 테크윈 등 주요 수요기업(需要企業)에 기술이전(技術移轉)을 했다. 아울러 무급유 다단 원심 압축 기술 자기베어링을 적용한 대용량 다단계 원심식 냉매 압축 기술(이남수, LG전자)’은 다단계 압축 기술 적용을 통해 세계최고(世界最高) 수준의 효율을 가진 대용량 냉매 압축 원천기술(源泉技術) 확보 및 사업화에 성공했다.

 

<정보·전자 분야>

 

‘2차원 반도체(半導體)와 양자점을 이용한 고해상도 칼라 마이크로 LED 디스플레이 개발(안종현, 연세대학교)은 정보·전자 분야의 우수성과로 선정됐다이는 LED 웨이퍼에 2차원 반도체(半導體)를 활용, 고해상도 마이크로 LED 디스플레이 구동을 위한 반도체(半導體) 회로를 세계최초(世界最初)로 개발한 것이다특히 앞으로 마이크로 LED 디스플레이의 복잡한 제작 공정 단순화 및 고성능 증강현실(增强現實)(AR), 가상현실(VR) 디스플레이 개발에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주석 기반 3차원 할라이드 페로브스카이트 P형 트랜지스터(노용영, 포항공과대학교)’는 무기물(無機物) 금속 할로겐화물 소재인 세슘-주석-요오드(CsSnI3)를 이용해 최고 성능의 P형 페로브스카이트 트랜지스터를 개발하고 우수논문을 유명 학술지(Nature Electronics)에 게재한 것이다현재 OLED 구동회로로 상용화된 금속 산화물 반도체 트랜지스터보다 기술성이 우수하고 제조 단가도 낮아 향후 다양한 활용성이 기대된다.

 

<융합 분야>

 

초고감도 카이랄 분자 측정기술개발(測程技術開發)(이승우, 고려대학교)’  의약학(醫藥學) 분야의 60~70%를 차지하는 카이랄성 분자를 육안으로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획기적(劃期的)인 기술이다이 기술은 우수 학술지 네이쳐(Nature)에도 관련 논문을 게재했고, 향후 바이오의약품의 초민감도 센싱 등 분야에 활용이 기대된다. ‘스마트 콘택트렌즈를 이용한 당 진단 및 당뇨 합병증 치료 시스템(한세광, 포항공과대학교)’은 당뇨 진단 센서가 장착된 스마트 콘택트렌즈 착용을 통해 무선통신기기(無線通信器機)와 연동·치료하는 데 활용 가능한 원천기술(源泉技術)을 확보했다.

 

<순수기초·인프라 분야>

 

구리 산화의 작동원리(作動原理) 규명 및 녹슬지 않는 초평탄 구리박막성장기술개발(정세영, 부산대학교)’은 구리가 산화되는 원인을 실험과 이론을 통해 세계최초(世界最初)로 규명했다아울러 원자 한층 수준(0.2nm)의 평탄한 금속 표면을 구현하는데 성공해 우수 학술지 네이쳐(Nature)에 관련 논문을 게재했다. ‘폐암환자(肺癌患者)에서 면역항암제(免疫抗癌製) 치료반응성(治療反應性) 예측(이세훈, 삼성서울병원)’은 국내 최대규모(最大規模)의 폐암환자(肺癌患者) ‘이미지-유전체-임상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인공지능(人工知能) 기반 바이오마커를 이용해 면역항암제(免疫抗癌製)의 반응성을 판별·분석하는 원천기술(源泉技術)을 확보했다.

 

<순수기초·인프라 분야 최우수성과>

 

과기정통부는 대국민 온라인 투표를 통해 이번에 선정한 우수성과 100선 중 사회문제해결성(社會問題解決成)10선도 함께 선정했다이를 위해 국가연구개발사업(國家硏究開發事業)으로 창출된 우수성과 가운데 국민이 체감하는 성과를 선정하기 위해 일반 국민이 참여하는 사회문제해결성(社會問題解決成)대국민 온라인투표를 진행했다. 국민의 체감도가 높은 성과로 가장 많은 선택을 받은 피 한방울로 암 진단 가능한 바이오센서 개발(조윤경, 기초과학연구원)’은 신속(迅速)하게 질병 진단을 할 수 있는 다공성 금 나노 전극 기반 바이오센서 개발에 성공한 것이다

 

이는 혈액·소변을 이용해 암과 같은 질병을 현장에서 바로 진단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관심을 끌었다. ‘사람처럼 촉각으로 느끼며 물체를 잡을 수 있는 로봇핸드 개발(황동현, 한국과학기술연구원)’은 기계가 물체와 환경을 인지하고 촉각센서가 정보를 획득·저장할 수 있는 로봇핸드 구현 기술이다이를 바이오닉 의수 분야에 적용할 경우 고령자와 신체적(身體的) 장애인 등 다양한 계층에서 로봇 핸드를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국민이 느끼는 해당 기술에 대한 체감도가 높았다.

 

2023년 국가연구개발(國家硏究開發) 우수성과 100선 중 사회문제해결성(社會問題解決成)과에 주영창 과기정통부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은 과학기술(科學技術)은 국가경제(國家經濟산업발전(産業發展)의 핵심 원동력(原動力)이며 우리나라의 미래라며 세계 최초(最初최고(最高) 수준의 우수한 연구개발(硏究開發) 성과들을 지속적(持續的)으로 창출하고, 국가발전(國家發展)에 핵심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번에 우수성과 100선으로 최종 선정된 성과는 과기정통부장관 명의의 인증서와 현판을 수여한다또한 관계 규정에 따라 과제선정과 기관평가 등에서 가점을 받을 수 있으며, 선정된 연구자는 국가연구개발(國家硏究開發) 성과평가 유공포상 후보자로 적극적 추천되는 등의 혜택을 제공한다.

 

  • 도배방지 이미지

특집 관련기사목록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