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케이에스피뉴스=김연실 뷰티전문기자 kspa@kspnews.com] “식탁에서 혁명이 시작된다” 건강도 생각하고 환경도 생각하는 미래 대체식품!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이것까지 가능하다고?! [미래 대체식품은 왜 주목받나요?] 과학기술의 발전과 함께 환경 및 건강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면서, 소비자의 식품 선택과 기호가 변화되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변화에 힘입어 진화를 거듭 중인 미래 대체식품 중 「대체 단백질식품」에 대해 알아볼까요? 1. 식물성단백 식품 (ex. 콩으로 만든 고기 맛 스테이크, 녹두로 만든 프라이, 콩으로 만든 생선 맛 구이) ㆍ 지속 가능한 식량 자원 식물성 원재료로부터 얻은 단백질을 이용하여 우리에게 이미 익숙한 식품과 유사한 형태로 만든 것입니다. 2. 곤충 식품 식용 곤충은 고단백 식품으로 우리나라에는 현재 총 10종이 인정되어 있습니다. - 메뚜기 - 백강잠 - 식용 누에 유충·번데기 - 흰 점박이 꽃무지 유충 - 장수풍뎅이 유충 - 아메리카 왕 거저리 유충 - 수벌 번데기 - 풀무치 - 갈색 거저리 유충 - 쌍벌 귀뚜라미 ㆍ 주요 고단백 식품 단백질 함량 비교 풀무치 70% > 닭 가슴살 23% > 돼지고기(살코기) 20% > 달걀 12% (출처 : 국가 표준 식품 성분표, 2021년) 단백질 등이 풍부한 곤충 식품은 과자, 선식 등 다양한 식품에 활용이 기대됩니다. 3. 세포배양 식품 소 → (1단계) 근세포 추출 → (2단계) 세포 배양 → (3단계) 배양육 ㆍ 과학으로 탄생한 식량 자원 가축을 사육하지 않고, 동물 세포를 배양해 얻은 식품으로, 미래 단백질 공급원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ㆍ 세포배양 식품은 글로벌 식품 혁명 ① 국외 - 1999년, 네덜란드 배양육 국제 특허 - 2013년, 미국 소 세포배양 식품 최초 시식회 - 2017년, 미국 닭고기 세포배양 식품 시식회 - 2020년, 싱가포르 세계 최초 세포배양 식품 인정 (치킨 너깃) ② 국내 - 스타트업 중심으로 개발 - 대기업의 투자 활발 국내 상품화 대비를 위해 안정성 평가 기반을 마련 중에 있습니다. 무한한 성장 잠재력을 지닌 미래 대체식품. 국민이 믿고 먹을 수 있는 식품원료가 제공될 수 있도록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저작권자 ⓒ 케이에스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댓글
|
인기기사
|